오늘은 스카우터랩의 핵심 기술을 이끌고 계신 공희준 대표님을 모시고, 창업 스토리부터 스카우터랩의 핵심 기술, 그리고 AI 글래스 시장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AI를 가장 유용하게”라는 스카우터랩의 목표를 제품에 어떻게 반영하고 있을까요? 빠르게 성장하는 AI 글래스 시장에서 스카우터랩은 어떤 차별화 전략을 가지고 있을까요? 공희준 대표님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통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자기소개와 함께 스카우터랩을 일본에서 창업하게 된 계기를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공희준입니다. 2001년 일본 TV 게임기 회사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시작했으며, 2004년부터는 일본 전력 시스템 개발자로 12년간 일했습니다. 2016년에는 미국 인코어드의 투자를 받아 인코어드 재팬을 설립하고 대표로 활동했으며, 2017년에는 소프트뱅크 자회사로 편입되어 소프트뱅크에서 일본 전력 사업 관련 솔루션 개발과 신사업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김옥균 대표님과 함께 스카우터랩을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부터 소프트뱅크에서 구글 글래스를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AR/AI 글래스를 검토했고, 2023년 ChatGPT의 등장으로 텍스트 기반 AI가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AR/AI 글래스 제품이 2025년 이후 세상에 필요한 제품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장 어려운 기술이었던 AR 렌즈 기술에 대한 고민 중, 오치영 ODO님의 소개로 김옥균 대표님을 만나 문제를 해결하고, 2023년 12월 공동 창업을 결정했습니다. 2024년 4월 1일, 일본 도쿄에 스카우터랩을 설립했습니다.
참고로 스카우터랩의 사명은 오치영 ODO님의 작명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만화 속의 전투력 측정기를 모티브로 선택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AI 글래스 시장에서의 차별화 전략이 궁금합니다.
해당 만화는 어릴 때부터 가장 좋아하는 만화였고, 그 중에서도 전투력 측정 AR 글래스는 어렸을 때부터 갖고 싶었던 제품이었습니다.
스카우터랩의 주요 제품 이름을 ‘스카우터’로 정한 이유는 만화에 등장한 전투력 측정기라는 아이템에서 영감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름을 알고 있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기존 안경 형태의 AR 글래스와는 달리, 오른쪽 렌즈를 통해 AI 정보를 전달하는 디자인 차별성이 있기 때문에 이 이름을 선택했습니다.
스카우터의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미국에서 ‘Scouter’라는 상표가 아직 등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2024년 7월에 미국에 상표를 출원했습니다.
스카우터 제품은 A시리즈와 S시리즈 두 가지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2026년 초에는 A시리즈를 출시하며, 만화 속의 AR 글래스의 디자인을 유지하여 ‘스카우터’라는 제품의 차별성을 강조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AI를 가까이 두고 활용할 수 있는 AI 글래스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2026년 하반기에는 활동성에 초점을 맞춘 선글라스 형태나 고글 형태의 S시리즈를 출시하며,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와의 협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AR 글래스 시장은 미국의 많은 빅테크 기업들과 중국의 많은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지만, 애플워치처럼 스카우터라는 글로벌 브랜드를 빠르게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