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기업내 특정 작업과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는 AI 에이전트가 엔터프라이즈 생성 AI 시장의 미래라는 얘기가 종종 들린다.
챗GPT가 나오기 전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가 화두였는데, 테크 업계 분위기를 보면 RPA에 생성AI를 융합한 AI 에이전트를 통해 다양하고 수준 높은 자동화 역량이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가 많이 엿보인다. 관련 업계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은 물론 스타트업들 움직임도 분주하다. 투자를 유치하는 스타트업들도 늘었다.
오비 AI(Orby AI)도 그중 하나. Orby AI는 최근 1억2000만달러 가치로 3000만달러 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AI 에이전트 레이스에 본격 가세했다.
알아서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한다
Orby AI는 데이터 입력, 문서 처리, 양식 검증 등과 같은 워크플로우를 포함한 다양한 비즈니스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는 생성 AI 플랫폼이 주특기다.
Orby AI 외에 파라볼라(Parabola), 타임스(Tines), 인듀스드AI(Induced AI )와 같은 스타트업들도 반복적이고 지루한 백오피스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툴을 내놨고 유아이패스, 오토메이션 애니웨어 등 기존 RPA 회사들도 생성형 AI를 빠르게 수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Orby AI는 워크플로우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여기에 맞춰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 기업 비정형 데이터 내 패턴과 관계를 이해하는 역량을 차별화 포인트로 꼽는다.
회사 측에 따르면 Orby 플랫폼은 작업자가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모니터링하면 복잡한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AI 에이전트가 사용자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해 자동화를 생성하고, 보다 많은 것을 학습해 가면서 모델이 거기에 맞춰 조정해 나가는 구조다. Orby 모델은 API 상호 작용과 작업자 브라우저 사용을 분석해 워크플로우 변화에 지능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쯤되면 으스스한 느낌이 드는 이들도 있을 수 있겠지 싶다. 콘셉트만 놓고 보면 Orby AI가 취하는 접근 방식은 프라이버시 측면에선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특정 원격 측정(telemetry) 데이터만 사용할 뿐 고객 데이터 대부분은 저장하지 않는다는 점, 전송 중이거나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는 모두 암호화했다는 입장이다.
생성AI만으로는 한계, 하이브리드 AI 접근이 현실적
Orby AI는 AI 에이전트 구현을 위해 생성AI와 전통적인 규칙 기반 AI, 이른바 싱볼릭 AI(Symbolic AI, 기호적 AI)를 융합했다는 점도 강조한다.
심볼릭 AI는 규칙 기반으로 딥러닝 아키텍처와는 결이 다르고, 복잡한 데이터셋을 다룰 때 유연성과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AI에이전트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사전에 명쾌하게 정의된 지식과 컨텍스트도 필요하다는게 Orby AI 설명이다.
AI 에이전트는 듣기만 하면 대단히 매력적인 솔루션이지만, 아직 실전에서 검증을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구글 출신이 설립하고 AI 에이전트를 주특기로 하는 스타트업인 Adept도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얘기가 있고, 아마존과 구글은 AI 에이전트를 내놨지만 반응이 신통치 않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AI 에이전트를 향한 테크 기업들 도전은 멈출 기미가 없어 보인다.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생성AI를 돈을 벌려면 생성AI를 넘어 AI에이전트를 투입해야 한다는 인식이 관련 업계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AI에이전트는 차세대 SaaS 비즈니스 측면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세일즈포스,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유력 SaaS 업체들이 주력 플랫폼에 생성AI 비서를 통합하는 흐름이 SaaS 분야 생성AI 트렌드를 주도했는데, 최근 상황은 다르다.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생성AI 모델에 기반해 SaaS를 구현하는 AI 네이티브 SaaS 회사들이 늘고 있다. Orby AI 같은 AI 에이전트 회사들 행보도 이같은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AI 네이티브 SaaS는 초기 단계여서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좀더 두고봐야겠지만 기존 SaaS 비즈니스 모델과 충돌하는 시나리오가 등장할 수도 있다. AI 에이전트 기반 SaaS에 더욱 관심이 가는 이유다.
#B2BSaaS #B2BSaaS전략 #B2BSaaS트렌드 #B2BSaaS스타트업 #생성AI #OrbyAI #AI에이전트
by Sasqua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