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aS Focus]는 SaaS 관련 기사 등의 외부 글을 직접 큐레이션 하여 제공하는 SaaS Content 리뷰입니다.
[ 지란지교 한줄평 ]
과거 SaaS의 가치 접근은 SW 활용과 서비스로서의 편리함 등 사용자 편익에 준한 수준으로 논의된 반면 현재 SaaS에 대한 가치를 바라보는 시각은 시장 규모의 확장, 산업의 선도, 포스트반도체 등 상당히 비즈니스적인 부분으로 추세가 전환되고 있다는 것. 그만큼 시장에서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고….
[ Insight ]
– 이스라엘 보안 SaaS업체 ‘위즈아이오’가 설립된 지 2년11개월 만에 기업가치 100억달러(약 13조원) 데카콘 달성
– 우버(5.2년), 페이스북(5.7년), 트위터(7.6년) 등 예전 혁신 정보기술(IT) 기업의 성장 속도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
– 챗GPT도 SaaS 시장을 키우는 원동력. 인공지능(AI)인 챗GPT가 각 분야 비즈니스에 침투해 새로운 산업을 여는 역할
이미지 출처 : pexels.com
[ 원문 출처 ]
매일경제
[ 원문 제목 ]
창업 3년만에 기업가치 100억달러 데카콘 탄생 삼성·TSMC 안부러운 ‘SaaS기업’이 뜬다
[ 원문 일부 ]
위즈아이오는 네트워크와 웹(인터넷)상 취약점을 실시간으로 진단해 기업 내부담당자가 해킹 위협을 바로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 클라우드 보안 걱정에 시달려온 글로벌 기업들은 이 솔루션에 환호했다. 클라우드는 초기 서버 투자비용을 줄이고 사용량에 따라 돈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언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커들이 공략할 보안 취약점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바로 이런 기업고객의 ‘통점’을 파악한 위즈아이오 솔루션이 빛의 속도로 기업가치를 키운 것이다. 이처럼 똑똑한 SaaS 솔루션 하나면 한국에서도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을 넘어 데카콘(기업가치 100억달러) 기업이 출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고 있다. 클라우드 확산과 맞물려 SaaS 시장은 디지털 전환의 최대 수혜주로 부상하고 있다.
[ 원문 위치 ]
https://www.mk.co.kr/news/it/10687228